느림보 개발
4.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카페24 CDN 서비스 이용하기 본문
😎 프로젝트 파일에서 불러오는 이미지로 인해 호스팅한 사이트를 한두번 접속했더니 트래픽용량 초과로 인해 사이트에 접속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카페24가 제공하는 무료 CDN서비스를 알게 되었고, 우여곡절 끝에 CDN을 적용한 결과 사이트를 여러번 방문하여도 트래픽이 분산되어 잘 돌아갔다.
CDN 이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로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웹 페이지 로드 속도를 높이는 상호 연결된 서버 네트워크이다. CDN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또는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지리적으로 사용자와 가까운 CDN서버에 저장되어 콘텐츠 로드하는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1. 로그인 - 나의 서비스 관리 - 연장/변경/추가옵션 - 무료 CDN 신청
글쓴이는 신청해놓은 상태이기에 사이드 메뉴바에서 항목이 사라졌다.
2. 무료 CDN 신청정보 확인
신청이 완료되면 FTP 접속서버와 포트번호, 접속 아이디 등이 출력된다. CDN 서버 세팅까지 20-30분 소요된다고 안내가 된다. 세팅완료시 이메일로 완료되었다고 연락이 온다.
CDN FTP 정보를 잊어버렸다면 서비스 접속관리 - 서비스 접속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CDN 이용안내
- 링크 도메인을 통해 콘텐츠를 불러올 수 있다.
- 소스 코드 작성시 프로젝트 파일 내 경로 주소가 아닌 아래와 같이 링크 도메인으로 url을 걸어준다.
4. 파일질라(FIleZilla)에서 사이트 관리자- 새 사이트- 확인
- CDN 발급 정보를 입력해준다.
- FTP 주소 / FTP 아이디 / FTP 비밀번호
- FTP 주소의 cdn1은 사용자마다 cdn2 cdn3 이런식으로 다를 수 있다.
5. 연결 - /WWW 경로에 이미지 파일 업로드
- WWW 폴더 안에 사용할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6. 연결된 주소로 크롬 주소창에 입력했을 때 이미지가 뜨는 걸 확인할 수 있다.
7. 결과
CDN 서버로 이미지 콘텐츠를 빼줌으로써 명확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환경설정 > Spring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cafe24 호스팅 (0) | 2023.01.18 |
---|---|
2. 깃허브 연동 (0) | 2023.01.13 |
1. println 대신 log 단축키 만들어 로깅하기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