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환경설정/Spring Framework (4)
느림보 개발

😎 프로젝트 파일에서 불러오는 이미지로 인해 호스팅한 사이트를 한두번 접속했더니 트래픽용량 초과로 인해 사이트에 접속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카페24가 제공하는 무료 CDN서비스를 알게 되었고, 우여곡절 끝에 CDN을 적용한 결과 사이트를 여러번 방문하여도 트래픽이 분산되어 잘 돌아갔다. CDN 이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로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웹 페이지 로드 속도를 높이는 상호 연결된 서버 네트워크이다. CDN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또는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지리적으로 사용자와 가까운 CDN서버에 저장되어 콘텐츠 로드하는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1. 로그인 - 나의 서비스 관리 - 연장/변경/추가옵션 - 무료 CDN 신청 글쓴이는 신청해놓은 상태이기에 사이드 메뉴바..

1. cafe24 회원가입&로그인 - 개발 언어별 호스팅 - 요금제 신청 및 결제 회원가입시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하게 되는데 꼭 기억해두기 → 잊더라도 추후에 재설정 가능 2. 나의 서비스 관리 - MySQL 외부 IP 접근설정 - DB 비밀번호 입력 - "네이버 내 IP 주소 검색" 후 IP 주소 등록 3. 데이터 베이스 연결 - MySQL Workbench - 새 연결 호스트, cafe24아이디,DB비밀번호 입력후 Test Connection 4. FTP 프로그램(파일질라) 설치 후 접속 사이트 관리자 → 호스트, cafe24아이디,관리자비밀번호 5. 개발툴에서 DataSource 수정 후 프로젝트파일 WAR로 Export 6. putty.exe 실행 호스트주소 입력 터미널창이 나오면 파일질라로 가서..

1. window > perspective > open perspective > other > git > open > git repository 2. github에 repository 만들고 url 복사 3. create a new git repository * repository directory: (github에 올릴) 워크스페이스 = 해당 프로젝트명 폴더 (bin, src 있는 데까지만 가기) * .git → 로컬 레포지토리 생성 완료 4. 서버(remote repository)랑 연결하기 (= .git(local repository) ↔ remote repository 통로 뚫기)

Window - Preferences - Java - Editor - Templates - New Name : 단축키 이름 / Context : Java / Pattern : 코드 입력 ${:import(org.slf4j.Logger, org.slf4j.LoggerFactory)}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 = LoggerFactory.getLogger(${enclosing_type}.class); 실행시 입력한 log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