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보 개발
3. html로 파라미터를 넘겨 javascript로 파라미터 받기 본문
주소창으로 들어오는 url 경로가 boardDetail.html?POST_ID=POST000001 이라고 할 때,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파라미터의 value값을 변수로 저장할 수 있다.
이 함수를 사용하여 파라미터의 이름으로 검색하여 변수에 저장한 다음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function getParameterByName(name) {
name = name.replace(/[\[]/, "\\[").replace(/[\]]/, "\\]");
var regex = new RegExp("[\\?&]" + name + "=([^&#]*)"),
results = regex.exec(location.search);
return results == null ? "" : decodeURIComponent(results[1].replace(/\+/g, " "));
}
var POST_ID = getParameterByName('POST_ID');
console.log("getParameterByName ==>"+POST_ID);
나는 게시글의 상세페이지 조회를 하기 위해 POST_ID라는 변수로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ajax({
type:"POST",
url:"http://localhost:8080/boardDetail.do",
data : JSON.stringify({"POST_ID" : POST_ID}),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dataType : "json",
success:function(result){
console.log("==>", result.data);
SUBJECT.setValue(result.data.SUBJECT);
VIEWS.setValue(result.data.VIEWS);
REG_USER.setValue(result.data.REG_USER);
CONTENT.setValue(result.data.CONTENT);
REG_DATE.setValue(result.data.REG_DATE);
},
error : function(XMLHttpRequest, textStatus, errorThrown){
}
}); // ajax
});
처음에는 localStorage를 사용해 웹 브라우저에 저장해 값이 필요할때마다 불러서 사용하였는데, 글 등록이나 삭제 로직을 수행한 뿌려줄 페이지를 이동할 때 한계가 보였다 .... ㅠ 또한 localStorage가 보안적으로 취약하다고 한다.
다음 포스팅에 번외로 localStorage에 대해서 정리해보겠다.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렉션 프레임워크 - ArrayList (0) | 2023.02.27 |
---|---|
5. 404에러 not found (0) | 2023.02.22 |
4. List, Map, Set (0) | 2023.02.17 |
2. $(ducument).ready()와 $(window).onload() (0) | 2023.02.15 |
1. JSON (0) | 2023.02.11 |
Comments